고려의 명장 강감찬(948∼1031) 장군은 정종 3년에 금주 즉 현재의 봉천동(218-14)에서 삼한벽상공신 궁진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장군의 처음 이름은 은천이다. 학문을 좋아하며 성종 2년(983)에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예부시랑이 되었고 저서로 "낙도교거집"과 "구선집"이 있다. 고려 현종 원년(1010)에 거란의 성종이 4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했을 때 고려에서는 강조가 30만 대군을 이끌고 나가 싸우다 패하여 많은 신하가 왕에게 항복할 것을 권했으나 예부시랑으로 있던 강감찬 장군이 항복을 반대하여 위난을 면했다.
그로부터 8년이 지난 1018년 거란의 성종은 강동 6주의 반환을 요구하면서 다시 소배압을 시켜 10만 대군으로 고려를 침공케했으나 고려는 강감찬 장군을 상원수로 삼아 20만 대군으로 대적케하니 장군은 흥화진의 물을 막아 적을 공격하여 승리를 거두었으며, 퇴각하는 적에 귀주에서 대첩을 거두니 이 귀주 대첩은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충무공의 한산도대첩과 함께 청사에 길이 남는 승전으로 손꼽힌다. 이 공으로 장군은 "추충협모안국공신"의 호를 받았다. 장군은 그 이듬해에 벼슬을 그만 두었다가 1030년 문하시중이 되었으며 검교태사 시중 천수현개국후에 봉해졌다. 1031년 사후 현종 조정에 배향되었고 수태사겸 중서령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인헌으로 조선 문종 때 숭의전 사당에 배향되었으며, 1974년에 낙성대 성역화 작업을 마무리 하면서 장군의 일대기를 적은 "강감찬 장군 사적비"를 세워 장군의 애국충정과 호국의 얼을 후세에 전하고 있다.
강홍립 장군은 명종 15년(1560)에 출생하여 인조 5년(1627)에 세상을 떠났다. 자는 군신이요, 호는 내촌으로 본관은 진주이다.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아버지는 참판 강신이다. 선조 22년(1589)에 진사가 되고 1597년에 알성문과로 급제하여 설서, 검열을 거쳐 선조 38년(1605)에 도원수 한준겸의 종사관이 되었고, 같은 해 진주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광해군 즉위년(1608)에 보덕, 이듬해 한성부 부윤, 1614년에 순검사를 역임하고 1618년 진녕군에 봉해졌다. 이 해 명나라가 요동을 침범한 후금을 토벌코자 조선에 원정을 요청하자, 백사 이항복과 한음 이덕형의 천거로 도원수로 임명되었으며, 광해군의 간곡한 청에 의해 오직 한사람이라도 덜 상케하여 국리를 도모, 향배하라는 밀지를 받들어 부원수 김경서와 함께, 13,000여 군사를 거느리고 출정하여 밀지대로 그 뜻을 따랐으며,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때에는 강화에서 화의를 주선하여 재난의 확대를 미연에 방지한 바 있으나 국내의 정변과 더불어 외교 방침의 변화로 장군의 애국충절도 빛을 보지 못하고 관직을 삭탈 당하였다. 죽은 뒤에 복관되었다..
장군은 관악이 낳은 인헌공 이후의 큰 인물로 한 시대의 영웅이요 시운을 얻지 못한 풍운아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재, 난곡에 있는 강씨묘역에는 강홍수, 강신, 강락, 강홍립 등의 묘가 있으며 강사상의 묘는 그 신도비와 같이 남아있다.
강사상은 중종 14년(1519년)에 태어나 선조 14년(1581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조의 문신이며, 자는 상지, 호는 월포, 시호는 정정공, 본관은 진주이다. 강사상은 24세가 되던 중종 3년(1543)에 진사가 되었으며 28세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명종 12년(1557) 동부승지가 되었으며 이듬해 우부승지를 거쳐서 우승지를 역임하고, 홍문관부제학이 되었다. 명종 16년(1561) 왕의 특별 명령으로 형조참판이 되었으며 선조 즉위 후 대사헌이 되어 실록청 동지관사로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선조 3년(1570)에는 주청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선조 7년(1574) 한성부판윤을 지내고 2년 후에는 우참찬을 지냈으며, 이조·형조·호조·병조판서를 두루 거친 후 선조 11년(1578) 우의정에 올랐다. 선조 14년(1581) 세상을 떠나니 그의 나이 63세였다. 정정공의 신도비는 현재 서울시 관악구 난곡동 산107-2호에 있는 선영에 있는데 400여 년 동안 이어 내려오는 중요한 유물로 1997년 12월 31일자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받았다.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상고이며 호는 석문이다. 정종의 8대 손으로 아버지인 동지중추부사 이유간과 어머니 개성 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선조 34년(160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선조 39년(1606)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올랐다. 광해군 1년(1609년)에 승정원 주서 겸 시강원 설서, 1611년 전적·호조좌랑·수찬·병조좌랑겸 지제교 등을 역임한 뒤 광해군 5년(1613년) 병조정랑으로 승진되었다.
이때 이이첨이 득세하여 이른바 계축옥사를 도모하자 이에 연루된 서성과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가 황해도 도사로 복직되고 다시 병조정랑이 되었고 당차 접반관·진휼종사관·평안도 경차관 등을 역임하였다.
광해군 9년(1617) 여름 회답사 오윤겸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고 이듬해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하여 사직하고 5년여의 낙향 생활을 보냈다.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황해도 병마절도사에서 전라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병사들을 모으고 난군 진압에 힘썼으며 그 공으로 수원부사에 임명되었다.
인조 6년(1627) 정묘호란 때는 병조참판으로 강화가 성립될 때 접반사로 활약했으며 환도 후 호조참판이 되었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는 부호군으로 비변사 당상을 겸해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했고, 화의 성립된 뒤 호조판서가 되었다.
인조 18년(1640) 강화유수로 재임하던 중 그 해 7월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묘는 관악구 남현동(과천현 상북면 사당리) 관악산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신도비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으로 1997년 12월31일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