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 전략 | 추진 과제 | 주요 내용 |
---|---|---|
협치 제도 기반 강화 | 1. 협치 기반 내실화 | |
2. 협치제도의 진단과 권고 | ||
3. 주민참여예산 활성화 | ||
협치 역량 강화 및 참여 확대 | 4. 협치 역량 강화 교육 운영 | |
5. 협치 인식 확대 홍보활성화 | ||
6. 주민참여 채널 연계 구축 | ||
7. 숙의·공론 활성화 |
구분 | 과제명 | 예산 | 내용 | 담당 부서(팀) |
---|---|---|---|---|
행정경제분과 | 2050 관악구 탄소중립의 첫걸음 | 130,450 | 녹색환경과 (환경정책팀) |
|
복지보건분과 | 지역밀착형 1인가구 건강 복지 지원 체계 구축 | 104,700 | 복지정책과 (희망복지팀) |
|
도시건설분과 | 자원순환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 164,984 | 도시재생과 (주거환경관리팀) |
|
청년문화분과 | 마을·청년 함께살이 플랫폼 구축사업 | 40,000 |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
|
관악형 광장문화 조성 | 174,866 | 기획예산과 (지역협치팀) |
전체 과정준비 (12월 ~ 1월) |
![]() |
협치의제 발굴 (3월 ~ 4월) |
![]() |
숙의·공론 및 계획 수립 (5월 ~ 6월) |
![]() |
협치회의 운영 |
|
|
서울시 엠보팅 (6월) |
![]() |
협치과제 선정 실행계획서 협의조정 승인 (7월 ~ 8월) |
![]() |
승인 및 심의 | |
협치과제 선호도 조사 |
|
|
분과 | 과제 | 사업비 | 내용 | 추진부서 |
---|---|---|---|---|
행정경제분과 |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꿈시장 운영 | 60,400 | 민관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관내 일자리 지역주민 우선채용 MOU 추진단 운영 | 29,300 | 일자리벤처과 (일자리사업팀) |
||
쓰레기 분리배출 생활화 | 51,800 | 청소행정과 (작업관리팀) (자원순환팀) (무단투기대응팀) |
||
복지보건분과 | 공공요양시설 건립을 위한 시민추진단 운영 | 88,910 | 노인청소년과 (시설지원팀) |
|
공공먹거리 체계 구축을 위한 시민참여단 운영 | 32,780 | 민관협치과 (지역협치팀) |
||
도시건설분과 | 관악 명소를 찾아라 | 81,000 | 문화관광체육과 (문화광광팀) |
|
청년문화 | 차없는 거리를 통한 관악형 광장문화 조성 | 152,040 | 민관협치과 (지역협치팀) |
|
문화관광체육과 (문화관광팀) |
||||
청년 자아학교 운영 | 12,440 |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
발굴 | |||
준비단계 | ![]() |
협치의제 발굴 | ![]() |
계획수립 과정 논의 |
선정 | |||||
분과별 협치의제 선정 | ![]() |
온라인 숙의 공론장 | ![]() |
주민참여 협치의제 선호도 조사 |
![]() |
주민의견 수렴 자료 검토 및 의제발굴 논의 | 의제별 선호도 조사(서울시엠보팅) |
계획수립 | |||||
확대분과 1차 공론장 | ![]() |
사업부서 검토 | ![]() |
확대분과 2차 공론장 | ![]() |
실행계획서 초안 도출 | 의제별 행정부서 검토 | 사업계획 및 예산 구체화를 통한 협치 과제화 |
협의조정 | |||
지역사회혁신계획 승인 및 제출 |
![]() |
서울시 협의조정 | ![]() |
관악구 협치회의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
최종승인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참여예산 위원회 최종승인 |
분과 | 과제 | 사업비 | 내용 | 추진부서 |
---|---|---|---|---|
행정경제 | 자원봉사단체 ‘인큐베이팅-네트워크’를 통한 역량 강화 | 40,000 | 자치행정과 (자원봉사팀) |
|
특수학급장애청소년진로교육을 위한 희망진로체험 | 40,000 | 교육지원과 (교육정책팀) |
||
사회적경제 장터 「꿈시장」 확대 운영 | 60,000 | 민관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창업활동 확산을 위한 창업공작소 확대운영 | 30,000 | 민관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재미있고 가치 있는 사회적경제 이야기 | 30,000 | 민관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복지보건분과 | 우리동네 수호천사 희망발굴단 운영 및 활성화 | 60,000 | 복지정책과 (복지기획팀/ 희망복지지원팀) |
|
배움과 성장의 청소년 심야식당 | 40,0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친화팀) |
||
관악구 학교밖 청소년 교육네트워크 ‘작당이음’ | 40,0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친화팀) |
||
걱정 없는 아이 돌봄 환경 조성 | 65,000 | 노인청소년과 (아동돌봄팀) |
||
도시건설 | 우리동네 아이들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찾아가는 놀이터 활동가 “우리, 같이 놀자” | 30,000 | 공원녹지과 (공원정책팀) |
|
하늘 내 숲속어울터 자원활동가 양성 및 프로그램 운영 | 35,000 | 공원녹지과 (공원정책팀) |
||
우리동네 집수리 아카데미 운영 | 30,000 | 도시재생과 (주거환경관리팀) |
||
청년문화 | 관악, 민주주의의 길을 걷다 마을관광사업 | 40,000 | 문화체육관광과 (문화관광팀) |
|
책과의 동행(動行), 사람과의 동행(同幸) | 30,000 | 문화체육관광과 (도서관팀) |
||
청년 거버넌스 구축 | 115,000 |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
협치의제 발굴 | ![]() |
부서검토 | ![]() |
1차 숙의/공론 | ![]() |
2차 숙의/공론 | ![]() |
3차 숙의/공론 (계획수립공론장) |
![]() |
주민, 단체, 부서 등 (시민참여예산 이관사업 포함) |
담당부서 | 제안자, 관악구 협치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분과위원회 |
관악구 협치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행정 |
제안자,관악구 협치회의, 행정 |
100안+원탁회의 | ![]() |
관악구 협치회의 협의/조정회의 |
![]() |
지역사회혁신계획 승인 | ![]() |
서울시 협의조정 | ![]()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최종승인 |
|
주민, 관악구 협치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행정 등 |
관악구 협치회의, 행정 |
관악구 협치회의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최종승인 |
※시민참여예산 이관사업은 2차례의 숙의/공론 결과에 따라 구 주민참여예산사업으로 이관
분과 | 과제 | 사업비 | 내용 | 추진부서 |
---|---|---|---|---|
행정경제 | 자원봉사단체 네트워크 강화 | 20,000 | 자치행정과 (자원봉사센터) |
|
특수학급장애청소년진로교육을 위한 희망진로체험 | 40,000 | 교육지원과 (교육정책팀) |
||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기적 장터 운영 | 30,000 | 민관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난향(동) 함께살이 | 30,000 | 민관협치과 (마을공동체지원팀) |
||
마을아카이브-재개발로 변화하는 삼성동을 기록/보관하다 | 20,000 | 민관협치과 (마을공동체지원팀) |
||
복지보건분과 |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지역사회보호체계 구축강화 | 20,000 | 복지정책과 (복지기획팀) |
|
중년 남성의 존재적 삶의 가치발견을 위한 사회적 관계망 만들기 사업 | 30,000 | 복지정책과 (복지기획팀) |
||
위더스(with us) 관악 장애인권 영화제 | 10,000 | 장애인복지과 (장애인복지정책팀) |
||
관악구 학교밖청소년네트워크 ‘작당이음’ | 40,0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친화팀) |
||
베이비박스 보호대상(유기)아동 보호조치 지원 | 7,2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친화팀) |
||
소외계층 아동들의 건강 및 정서활동지원 | 46,8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친화팀) |
||
관악구 어르신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윷놀이 대회 | 10,000 | 노인청소년과 (노인복지팀) |
||
도시건설 | 생태 에너지 시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 20,000 | 녹색환경과 (기후변화대응팀) |
|
삼성동 도시농업공원 공동체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활동(도시농업) | 20,000 | 공원녹지과 (도시농업팀) |
||
“하늘내 숲속 어울터”전문가 양성과정 | 20,000 | 공원녹지과 (생활공원팀) |
||
어린이놀이터 튼튼한 코끼리랑 놀고 싶어요! | 105,000 | 공원녹지과 (생활공원팀) |
||
난향초등학교 후문에서 정문하교 앞 구간 꽃길조성 | 17,000 | 원공녹지과 (조경팀) |
||
민관협력 친환경 꽃길 화단 조성 | 10,000 | 원공녹지과 (조경팀) |
||
주민이 주도하는 쾌적한 우리동네 쉼터 만들기 | 70,000 | 원공녹지과 (조경팀) |
||
우리동네 집수리 아카데미 운영 | 30,000 | 도시재생과 (주거환경관리팀) |
||
청년문화 | 신나는 마을여행 | 25,000 | 문화체육관광과 (문화관광팀) |
|
예술이 숨쉬는 남현동 예술인마을 조성 | 45,000 | 문화체육관광과 (문화관광팀) |
||
새숲밤골 예술마을 만들기 | 15,000 | 문화체육관광과 (문화관광팀) |
||
책과 함께 온 마을 놀자! 책 읽는 도시 관악! | 20,000 | 문화체육관광과 (독서문화진흥팀) |
||
청년의제 공론화 및 정책시범 사업 | 15,560 (구비포함) |
청년정책과 (청년정책팀/ 청년지원팀) |
||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모 사업 추진 | 45,000 |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
||
청년모임 x 수제맥주 | 11,000 |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
협치의제 발굴 | ![]() |
부서검토 | ![]() |
1차 숙의/공론 | ![]() |
2차 숙의/공론 | ![]() |
주민, 단체, 보서 등 (시민참여예산 이관사업 포함) |
담당부서 | 관악구 협치회의 분과위원회 심의 | 관악구 협치회의, 행정 |
협치과제 최종의결 | ![]() |
3차 숙의/공론 (계획수립공론장) |
![]() |
서울시 협의조정 | ![]()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최종승인 |
|
관악구 협치회의 | 주민, 단체, 행정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
※2019년 협치과제 발굴 과정 (2018년 진행)
분과 | 과제 | 사업비 | 내용 | 추진부서 |
---|---|---|---|---|
행정문화 | 동 캠프 네트워크 운영지원 | 10,500 | 자치행정과 (자원봉사센터) |
|
마을 참여형 독서동아리 활동 활성화 | 20,000 | 도서관과 (도서관기획팀) |
||
청년 배우 꿈에 날개를 달다, 관악구 청년연극제 | 20,000 | 문화체육과 (문화관광팀) |
||
복지청년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활성화 지원 | 20,000 | 복지정책과 (자원연계팀) |
|
학교 밖 청소년 교육 네트워크 운영 | 30,0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팀) |
||
마을자원을 활용한 학교 밖 청소년교육 활동 지원 | 25,0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팀) |
||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디딤돌, 배움 인턴십 | 45,600 | 노인청소년과 (아동청소년팀) |
||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모 사업 추진 | 39,000 | 도시재생과 (청년드림팀) |
||
청년의제 공론화 및 정책시범 사업 | 10,136 | 도시재생과 (청년드림팀) |
||
도시건설 |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단 운영 지원 | 30,000 | 도시재생과 (도시재생기획팀) |
|
「관악, 친환경 생태도시」 조성 사업 | 60,000 | 녹색환경과 (기후변화대응팀) 공원녹지과 (도시농업팀) |
||
청년 창업지원을 위한 창업공작소 설립 운영 | 20,000 | 주민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꿈시장’ 확대운영 | 40,000 | 주민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전략 수립 및 조례 제정 | 30,000 | 주민협치과 (사회적경제지원팀) |
||
분과미운영 | 동지역회의 핵심사업 선정권한 부여 사업 | 280,000 | 기획예산과 (예산팀) |
|
동별 마을공동체 활성화 운영 지원 | 86,000 | 주민협치과 (지역협치팀) |
협치 현황조사 및 진단 | ![]() |
협치의제 도출 및 부문별 계획수립 | ![]() |
지역사회혁신계획 초안 공유 및 서울시 제출 | ![]() |
민관TFT, 연구용역기관 등 | 민관TFT, 행정 등 | 관악구 협치화의 |
서울시 협의조정 | ![]() |
지역사회혁신계획 최종승인 | ![]() |
서울시 최종승인 | |
관악구 협치회의, 서울시 등 | 관악구 협치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