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 정보 바로가기

매니페스토(공약) 한눈에 보는 공약 공약가계부

공약가계부

세입·세출 규모

(단위: 백만원)

세입·세출 규모 표 안내 : 구분, 세입, 세출 항목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
구분 세 입 세 출
합계 6,057,171 5,652,825
내역 지방세수입 580,557 행정운영경비 727,433
세외수입 360,987 재무활동 63,674
이전재원 4,264,423 사업수요(예비비 포함) 4,861,718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851,205

※ 출처: 관악구 2025~2029년도 중기지방재정계획

세입·세출 규모 그래프 : 세입 - 지방세수입 11%, 세외수입 5%, 이전재원 79%,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5% / 세출 - 행정운영경비 24%, 재무활동 2%, 사업수요(예비비 포함) 74%

연차별 투자수요

  • 총 소요재원(2022년~2026년): 5,129,168백만 원
  • 재원현황
    • 재원별

      (단위: 백만원)

    재원별 현황 - 구분, 총계, 임기내(소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임기후 순
    구분 총계
    (㉠+㉡)
    임기내 ㉠ 임기후 ㉡
    소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총계 6,493,597 5,129,168 235,863 1,500,916 1,871,017 938,695 582,677 1,364,429
    국비 1,520,041 1,293,863 55,371 439,457 560,312 182,091 56,632 226,178
    시비 1,985,920 1,416,045 70,768 320,675 375,385 317,375 331,842 569,875
    구비 290,263 282,797 50,573 72,004 58,285 73,063 28,872 7,466
    기타 2,697,373 2,136,463 59,151 668,780 877,035 366,166 165,331 560,910

  • 목표별

    (단위 : 백만원)

목표별 현황 - 구정목표, 총계, 임기내(소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임기후 순
구분 총계
(㉠+㉡)
임기내 ㉠ 임기후 ㉡
소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총계 6,493,597 5,129,168 235,863 1,500,916 1,871,017 938,695 582,677 1,364,429
더불어 경제 141,695 85,981 14,274 17,718 14,675 15,929 23,385 55,714
국비 5,843 5,843 3,411 1,480 837 76 39 -
시비 102,270 46,556 4,986 7,840 6,195 8,943 18,592 55,714
구비 33,114 33,114 5,877 7,955 7,643 6,885 4,754 -
기타 468 468 - 443 - 25 - -
더불어 복지 76,023 75,795 14,459 13,302 16,197 28,452 3,385 228
국비 3,927 3,912 923 531 705 879 874 15
시비 24,366 24,266 903 3,164 4,848 14,337 984 100
구비 47,730 47,617 12,633 9,607 10,614 13,236 1,527 113
기타 - - - - - - - -
청년 특별시 19,025 17,806 6,581 2,959 3,118 3,244 1,904 1,219
국비 236 216 76 40 40 40 20 20
시비 2,583 2,480 1,352 333 316 316 163 103
구비 14,392 13,306 3,419 2,566 2,742 2,868 1,711 1,086
기타 1,814 1,804 1,734 20 20 20 10 10
으뜸 교육문화 108,799 103,564 3,943 26,090 26,987 29,900 16,644 5,235
국비 1,214 1,214 143 309 308 302 152 -
시비 2,118 2,118 265 554 454 528 317 -
구비 105,467 100,232 3,535 25,227 26,225 29,070 16,175 5,235
기타 - - - - - - - -
청정 안전삶터 6,119,803 4,818,972 191,917 1,433,801 1,803,136 855,312 534,806 1,300,831
국비 1,507,525 1,281,425 50,275 436,913 558,237 180,600 55,400 226,100
시비 1,846,593 1,332,763 62,059 305,972 361,337 291,922 311,473 513,830
구비 70,594 70,593 22,166 22,599 6,547 16,669 2,612 1
기타 2,695,091 2,134,191 57,417 668,317 877,015 366,121 165,321 560,900
혁신 관악청 28,252 27,050 4,689 7,046 6,904 5,858 2,553 1,202
국비 1,296 1,253 543 184 185 194 147 43
시비 7,990 7,862 1,203 2,812 2,205 1,329 313 128
구비 18,966 17,935 2,943 4,050 4,514 4,335 2,093 1,031
기타 - - - - - - - -

재정현황

  • 재정현황
    • 세입여건
      • · 국토교통부 부동산가격 현실화 목표에 따라 주택공시가격 및 공시지가 상승으로 재산세 세입 증가가 예상되나, 세법개정 등 감소요인 상존
      • · 부동산 거래량 감소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市 조정교부금 소폭 감소 예정
    • 세출여건
      • · 지역밀착형 생활 SOC 투자 중심의 지역개발, 소상공인 및 벤처창업 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관련 지출 수요 지속
      • · 재해·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분야 선제적 투자비용 및 민선8기 중점사업 성과달성을 위한 재정지출 증가
    • 재정현황의 문제점
      • · 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등 세입예산의 의존재원의 비율이 높으며, 저출산, 고령화 등 당면 구조적 문제로 인한 복지비용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증가하는 추세
      • · 다양한 지역주민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자주재원 확충 노력 필요
  • 재정운용 방향
    • 민선8기 역점사업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재정 운용
      • · 민선8기 역점사업과 연계한 실효성 있는 재정지원
      • · 구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행정수요를 반영하고, 일자리 창출·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집중 투자
      • · 신속하고 적극적인 예산집행으로 주민체감 성과도출
    •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재정 효율성·건전성 강화
      • ·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고, 지역경제 침체위기 극복 등 대내외 재정여건 변화에 대비한 재정건전성 강화 필요
      • · 한정된 재원 대비 증가하는 재정수요 충족을 위해 확대·신규 사업의 경우 타당성, 필요성, 시급성 등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합리적 재원배분
      • · 복지수요 등 지출부담 증가 등에 대비하여 불요불급한 사업, 유사 사업 통합조정 등 과감히 구조 조정하여 예산낭비 방지
    • 세입 확충을 강화하여 합리적·효율적 재정 운용
      • · 지방세, 세외수입 세수추계의 정확성 제고 및 세입 징수 자구 노력 강화
      • · 국·시비 보조금, 특별교부세·교부금 등 외부재원 확보 및 효율적 활용
      • · 신규, 누락 세원 발굴 및 불요불급한 비과세 감면 축소 노력
  • 담당부서 : 기획예산과

    연락처 : 02-879-5554

  • 최종업데이트 :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