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유두종바이러스는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여성의 자궁경부암,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 사마귀와 항문생식기암의 원인이 됩니다.
전파경로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주로 감염된 사람과의 성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감염질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대부분 증상이 없고 자연적으로 소멸되지만, 지속적인 HPV 감염은 자궁경부, 전암병변, 자궁경부암, 항문 및 생식기 사마귀와 호흡기에 생기는 유두종 등의 다양한 임상질환을 일으킵니다.
치료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자체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인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의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집니다.
예방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통해 일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은 두 가지 종류(가다실, 서바릭스)가 있습니다.
권장연령 : 11~12세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25~26세 이하 여성(만12세 여성 청소년 : 국가예방접종사업대상→어린이예방접종 참고)
백신별 접종용량 및 방법
4가 백신 : 0.5mL를 0, 2, 6개월 간격으로 3회 근육주사
2가 백신 : 0.5mL를 0, 1, 6개월 간격으로 3회 근육주사
※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시에는 동일 제조사의 백신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합니다.
예방접종 후의 이상반응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접종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 반응과 미열, 두통 등이 있습니다. 드물게 일시적인 의식소실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후 20~30분간 피접종자를 면밀히 관찰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