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와 민원 > 예방접종 > 예방접종정보 > 폐렴구균

폐렴구균

폐렴구균이란?
  • 폐렴구균(Streptoccoccus pneumoniae)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소아의 세균성 폐렴, 세균성 뇌막염 및 부비동염, 중이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전파경로
  • 정상인이나 환자의 상기도에 있는 폐렴구균은 직접 접촉이나 기침이나 재채기로 전파된다.
증상
  • 전파경로 폐렴구균 감염의 가장 흔한 양상인 폐렴구균 폐렴은 잠복기 1 ~ 3일을 거쳐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 객담을 동반한 기침, 흉통, 호흡곤란 등을 동반한 폐렴으로 나타나며. 뇌막염의 경우 고열, 두통, 구토 증상이 발생한다.
치료
  •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기간은 감염 부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방
  •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통해 폐렴구균을 예방할 수 있다.
접종 대상
  • 23가 다당 백신
    • 65세 이상의 모든 노인
    • 폐렴구균 감염의 위험이 높은 2세 이상의 소아청소년 및 성인
  •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2개월~5세 미만의 기저 질환이 없는 영아 및 소아
    • 폐렴구균 감염의 위험이 높은 2개월~18세 소아청소년
접종 시기
  • 23가 다당 백신
    • 비장적출술, 인공와우 이식술, 항암치료나 면역억제요법 시작 시 가능하면 적어도 수술 2주전에 접종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첫번째 23가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1회에 한하여 재접종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이 저하된 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과 성인
    • 65세 이전에 첫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이 되었을 경우
  •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12~15개월에 추가접종
이상반응
  • 폐렴구균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물며,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후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이 있다.
기타
[표1.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단백결합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단백결합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위험군 질환
정상면역 소아 만성 심장 질환*, 만성 폐 질환+당뇨병, 뇌척수액 누출인공 와우 이식 상태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소아
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무비증 혹은 비장 기능 장애
면역저하 소아 HIV 감염증, 만성 신부전과 신증후군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는 질환(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혹은 고형 장기 이식, 선천성 면역결핍질환
  • 특히 선천성 청색 심질환과 심부전
  •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경구로 복용하는 천식환자
  • B세포(체역면역)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질환은 제외)
[표2. 19~64세 성인에서 다당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19~64세 성인에서 다당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위험군 질환
정상 면역인 만성 심장 질환(고혈압 제외)*, 만성 폐 질환+당뇨병, 뇌척수액 누출인공 와우 이식 상태, 알코올 중독간경변을 포함한 만성 간 질환, 흡연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가진 자
겸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무비증, 비장 기능장애 및 비장제거술
면역저하자 선천성 혹은 후천성 면역결핍증, HIV 감염증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백혈병, 림프종, 전신적인 악성종양, 면역억제제,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전신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 고형 장기 이식
  • 울혈성 심부전과 심근증 포함
  •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및 천식 포함
  •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나 면역저하자는 1차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 경과한 후 2차 다당 백신 접종이 권장됨
  • B세포(체역면역)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질환은 제외
  • 담당부서 : 지역보건과
  • 연락처 : 02-879-7159
  • 최종업데이트 : 2024-04-18

만족도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