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 : 원/월)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7인 가구 | |
---|---|---|---|---|---|---|---|---|
기준중위소득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8,514,994 | |
기준중위소득의 40% | 891,378 | 1,473,044 | 1,885,863 | 2,291,965 | 2,678,294 | 3,047,348 | 3,405,998 | |
유지기준(소득하한)* | 534,827 | 883,826 | 1,131,518 | 1,375,179 | 1,606,976 | 1,828,409 | 2,043,599 | |
유지기준(소득상한)** | 2,828,794 | 2,828,794 | 2,828,794 | 3,437,948 | 4,017,441 | 4,571,021 | 5,108,996 | |
최대 근로소득 장려금*** | 본인적립금 10만원 | 303,000 | 501,000 | 641,000 | 779,000 | 779,000 | 779,000 | 779,000 |
본인적립금 5만원 | 153,000 | 253,000 | 324,000 | 394,000 | 394,000 | 394,000 | 394,000 |
* 8인가구 이상의 경우 1인 증가 시 마다 기준 중위소득 879,534원씩 증가
** 근로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40%의 60% 이상
*** 근로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1·2·3인 가구는 3인가구의 소득상한액까지 지원가능
**** 4인 가구 이상은 4인 가구 최대소득근로장려금 적용
< 본인적립금 5만원 신규 가입자의 예상 지원내역 > | ||
---|---|---|
① 지원액(예시) | 3인 가구 (월소득 150만원) |
본인저축 5+월 근로소득장려금 18.7+월 민간매칭금 2 = 월 25.7만원 ⇒ 3년간 약 925만원 |
4인 가구 (월소득 180만원) |
본인저축 5+월 근로소득장려금 21.7+월 민간매칭금 2 = 월 28.7만원 ⇒ 3년간 약 1,033만원 |
|
② 최대지원액 | 3인 가구 | 본인저축 5+월 근로소득장려금 30.5+월 민간매칭금 2 = 월 37.5만원 ⇒ 3년간 약 1,350만원 |
4인 가구 | 본인저축 5+월 근로소득장려금 37.2+월 민간매칭금 2 = 월 44.2만원 ⇒ 3년간 약 1,591만원 |
< 본인적립금 10만원 신규 가입자의 예상 지원내역 > | ||
---|---|---|
① 지원액(예시) | 3인 가구 (월소득 150만원) |
본인저축 10+월 근로소득장려금 37+월 민간매칭금 2 = 월 49만원 ⇒ 3년간 약 1,764만원 |
4인 가구 (월소득 180만원) |
본인저축 10+월 근로소득장려금 42.8+월 민간매칭금 2 = 월 54.8만원 ⇒ 3년간 약 1,973만원 |
|
② 최대지원액 | 3인 가구 | 본인저축 10+월 근로소득장려금 60.3+월 민간매칭금 2 = 월 72.3만원 ⇒ 3년간 약 2,603만원 |
4인 가구 | 본인저축 10+월 근로소득장려금 73.5+월 민간매칭금 2 = 월 85.5만원 ⇒ 3년간 약 3,078만원 |
※ 민간매칭금은 2019년 9월 가입·유지자부터 매월 본인적립금 적립 시 정액 매칭되며, 2022년 재원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